본문 바로가기
강아지, 고양이 품종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양이 렉돌(Ragdoll)

by 10년째수의사 2023. 12. 12.
반응형

  렉돌은 고양이 품종 중에 가장 이쁘기로 소문이 났습니다. 사람에게 안겼을 때, 인형처럼 있는다 하여 이름에 인형(doll)이 붙습니다. 그러면 렉돌의 역사과 특징 및 유전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렉돌입니다.

 

렉돌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양이 품종이 렉돌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렉돌은 너무나 이쁜 외모로 유명합니다. 이쁜 외모만큼 선천적인 질병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렉돌의 역사부터 특징, 유전병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렉돌의 역사

 렉돌을 1960년대 캘리포니아의 브리더 앤 베이커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앤 베이커에게는 조세핀이라는 장모종 고양이가 있었습니다. 이 장모종 고양이는 특별한 품종은 아니었습니다. 조세핀이 여러 마리의 새끼를 낳았는데, 그중 한 마리가 인형같이 예쁘고, 안았을 때 인형처럼 늘어지는 것이었습니다. 이 고양이가 렉돌의 시조입니다. 

 

렉돌입니다.

 

렉돌의 특징

 렉돌의 특징 중 가장 두드러진 점은 외형입니다. 렉돌은  아름다운 외형으로 유명합니다. 렉돌은 예쁜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많은 고양이들의 눈이 예쁘지만, 그중에서도 렉돌의 눈이 가장 아름답습니다. 렉돌의 눈을 보고 있으면, 마치 우주를 보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듭니다. 또한 렉돌은 길고 우아한 털을 가지고 있습니다. 렉돌의 털은 길고 윤기가 흐르고 풍성합니다. 그래서 렉돌이 털갈이를 할 때는 많은 털이 날립니다. 또한 렉돌은 대형묘입니다. 메인쿤만큼 크지는 않지만, 노르웨이 숲과 비슷할 정도로 자랍니다. 렉돌의 특징 중 하나가 렉돌은 4살이 될 때까지 성장합니다. 보통 고양이들은 1~2살 사이 성장이 끝나지만, 렉돌은 조금 더 성장합니다. 

 렉돌은 성격이 좋기로도 유명합니다. 개냥이 품종을 하나 고르라고 하면 무조건 렉돌입니다. 렉돌은 온화하고 사람을 잘 따릅니다. 다른 고양이와 다르게 안고 있으면 힘을 빼고 늘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고양이들에 비해 애교도 많고 집사에 대한 애착도 보입니다.

 

렉돌의 유전병

1. HCM(Hypertropic cardiomyopathy)

 렉돌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질병은 HCM입니다. 다음은 HCM에 대한 포스팅 내용입니다.

2023.03.07 - [우리 아이가 궁금해요] - 고양이 급사 원인 1위 비대성 심근증(#HCM)

 

고양이 급사 원인 1위 비대성 심근증(#HCM)

비대성 심근증(HCM)은 고양이 급사 원인 1위입니다. 유전병으로서 어린아이들에 서도 발병합니다. 비대성 심근증에 의한 증상 및 치료와 예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비대성 심근증(Hypert

vetstory.tistory.com

 HCM은 고양이에서 발병하는 심장병입니다. 고양이 심장병은 유전병으로 1살 전후로 발병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렉돌이나 노르웨이 숲과 같은 품종묘들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HCM의 경우 뚜렷한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은 완화시키는 것이 최선입니다. 하지만, 이 질병은 강아지의 심장병과 다르게 진행 속도가 빠른 편이며, 고양이 습성상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요새는 이런 유전병을 가지고 있거나, 유전병 유전자가 있는 아이들은 교배시키지 않아서, 건강한 아이들이 태어나도록 합니다.

 

2. PKD(Polycystic kidney disease)

 다음 질병은 PKD입니다. PKD는 렉돌보다 페르시안에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다음은 PKD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2023.08.06 - [오늘의 진료 이야기] - 막을 수 없는 시한폭탄 PKD(#페르시안, 신부전, 다낭성 신종)

 

막을 수 없는 시한폭탄 PKD(#페르시안, 신부전, 다낭성 신종)

1. 기본 정보 종 : 고양이 품종 : 페르시안 나이 : 8살 성별 : 중성화한 여자아이 몸무게 : 2.5kg 주증상 : 구토, 식욕부진, 기력저하 2. 혈액검사 (1) 혈구 검사 : 빈혈 (2) 혈청 화학 검사 : 심한 신장 수

vetstory.tistory.com

PKD는 신장의 Cyst(물주머니)가 발생하여, 신장 기능을 하는 조직들이 사라지는 겁니다. 그래서 신장이 노폐물을 배설할 수 없어서 신부전이 발병합니다. PKD의 경우 질병의 발병 상태가 매우 상이합니다. 천천히 조금씩 발병하는 아이들도 있고, 빠르게 발병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PKD로 인한 만성 신부전이 발병합니다. 만성 신부전 또한 직접적인 치료보다는 신장이 보다 오래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