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가 아파요

강아지가 빵을 먹었어요~!

by 10년째수의사 2023. 11. 20.
반응형

강아지가 소량의 빵을 먹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몇 가지 성분이 문제가 될 수 있으며, 먹일 때 주의하셔야 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라이카입니다.

 

강아지가 빵을 먹었어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강아지가 쉽게 먹을 수 있는 빵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강아지들에게 빵을 주시기도 하지만, 강아지들이 빵을 먹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강아지가 빵을 먹어도 될까요?

 대답부터 한다면 먹어도 됩니다. 아이의 몸무게 맞는 양을 맞는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빵에 첨가된 몇 가지 성분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빵을 먹었을 때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어떤 성분이 문제가 되고,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빵에 있는 유해한 성분

1. 초콜릿

 빵에 들어 있는 유해한 성분 중 하나는 바로 초콜릿입니다. 초콜릿은 강아지에게 독성이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량을 먹었을 경우에는 흥분/구토 등과 같은 증상에서 다량을 먹게 되면 발작 및 사망할 수 있는 성분입니다. 따라서 강아지에게 빵을 주실 때 혹은 강아지가 빵을 먹었을 때, 초콜릿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나 카카오 비율이 높은 다크 초콜릿이라면 문제가 될 가능성이 더 높기에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2. 포도

  빵에 들어 있는 다음 유해 성분은 포도입니다. 그냥 포도가 빵에 포함되는 경우는 드뭅니다. 건포도가 빵에 들어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건포도도 포도와 마찬가지로 강아지에게 독성을 나타냅니다. 포도 혹은 건포도를 먹었을 때는 급성 신부전이 발생합니다. 특히나, 먹은 직후 문제가 없더라도 72시간 내에 증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도가 있는 빵을 강아지가 먹었다면 빨리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구토 유발을 진행해야 합니다.

 

3. 마늘 혹은 양파

 다음으로 빵에 들어 있는 유해 성분은  마늘 혹은 양파입니다. 일반적인 빵보다 피자빵이나 마늘빵과 같은 빵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마늘과 양파를 강아지가 먹게 되면 용혈성 빈혈이 발생합니다. 만약 마늘이나 양파를 먹게 되면 적혈구가 파괴되어 빈혈이 발생합니다. 중요한 점은 적혈구가 파괴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막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산소공급과 같은 대증치료를 진행합니다. 빈혈이 심해지면 수혈로 적혈구를 보충시켜 줍니다. 하지만, 양파와 마늘을 많이 먹은 경우에는 수혈을 많이 하더라도 사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마늘이나 양파를 먹었을 때는 빠르게 동물병원에 가셔 진료를 보셔야 합니다.

 

4. 견과류

 다음으로 빵에 들어 있는 유해 성분은 견과류입니다. 일부 견과류를 강아지가 먹으면 신경 증상이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침 흘림을 보이다가 보행실조/의식 소실/발작 등 점차 신경 증상이 심해집니다. 모든 신경증상과 마찬가지고 증상이 심해지면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발작을 하는 경우에는 항견련제 투여로도 사망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견과류를(특히 마카다미아)를 먹은 경우에는 꼭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음은 빵을 먹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빵을 먹었을 때 발생하는 건강문제

1. 알레르기

 모드 음식을 처음 먹을 때는 알레르기를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나 이미 알레르기가 있거나, 피부가 약한 아이들은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알레르기 증상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소략을 급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량의 빵을 급여한 후에 15~30분까지 이상증상(안면 부종, 안면 발적, 소양감 등)이 나타나지 않으면 추가로 급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당분이 많음

 빵에는 설탕이 많이 들어갑니다. 따라서 강아지들에게 많은 양의 당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일차적으로 많은 당을 먹게 되면 치아 건강에 좋지 않습니다. 치아의 표면이 약해져서 치석이 잘 쌓이고, 치아가 깨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나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을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게는 고당 음식은 위험합니다. 당뇨의 경우 고혈당이 지속되면 당뇨성 케톤 산증이 발병하여 사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