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멀미의 크게 2가지 증상이 있습니다. 증상에 따른 멀미약들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WHtn4/btsHk4gy8SY/4xMyxdzmVX2SbK2xJz9vAK/img.webp)
강아지 멀미 증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강아지 멀미약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멀미약을 이야기하기 전에 강아지 멀미 증상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강아지 멀미 증상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가장 흔한 증상이 어지러움에 의한 구토 증상입니다. 구토는 여러 가지 다른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은 입맛을 다시는 증상입니다. 강아지가 차에서 입맛을 다시며 혀를 많이 움직인다면 구토를 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후에 침을 많이 흘립니다. 침을 흘리기 시작한 후에 구토를 할 수 있습니다.
멀미 다른 증상으로는 불안감 증상이 있습니다. 강아지가 차를 타면 큰 소리와 함께 차의 움직임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차에서 강아지가 불안감을 느끼게 되면, 호흡이 빨라지고, 안절부절못하며, 앉거나 눕지 못해서 서서 차를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증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강아지 멀이 약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강아지 멀미약
1. 소화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약물은 바로 소화제입니다. 이 소화제에는 수의사마다 다른 처방을 할 수 있겠지만, 가장 기본적인 성분은 위장관 운동 촉진제입니다. 위장관 운동 촉진제를 먹게 되면 강아지들이 구토를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멀미로 인해 구토를 하는 이유는 위장관 문제가 아니기에, 이 약을 먹고도 구토를 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인 소화제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효과가 없을 수 있습니다.
2. 세레니아(Cerenia, Maropitant)
다음은 세레니아라는 항구토 약물입니다. 구토가 발생되는 원인은 위장관 문제뿐만 아니라, 머리의 문제가 있어도 할 수 있습니다. 차멀미로 인한 구토는 위장관보다는 머리(구토중추)에 문제가 원인입니다. 따라서, 머리(구토중추)까지 안정시킬 수 있는 세레니아가 구토 억제에는 더 효과적입니다. 다만, 효과가 좋기에 가격이 비쌉니다.
3. 안정제
다음은 불안한 강아지들은 위한 안정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강아지들의 멀미는 구토와 불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토의 경우 소화제나 세레니아를 통해 예방할 수 있으나, 불안의 경우에는 안정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과거에는 한 가지 안정제만 보편적으로 처방되었는데, 요새는 다양한 안정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효과가 좋은 안정제일수록 강아지의 처침이 심합니다. 반면에, 효과가 약한 안정제의 경우 효과가 적을 수 있으나, 부작용이 적습니다. 이는 아이의 상태나 나이, 기병력 등을 고려하여 처방하여야 합니다.
동물병원에서 강아지 멀미약을 처방받기 전에 우리 아이가 어떤 증상이 있는지, 어떤 멀미약을 처방받아야 하는지 미리 알고 가시면 도움이 됩니다~!
'우리 아이가 아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의사가 알려주는 강아지 설사 이유는?(노견 설사) (0) | 2024.05.14 |
---|---|
강아지/고양이가 구토하는 데 물/사료를 줘야 하나요?(수의사피셜) (0) | 2024.05.11 |
강아지가 고사리를 먹었어요~!(티아민 결핍) (48) | 2024.05.03 |
원인 불명 급성 고양이 신경병증/근육병증은 이게 원인?! (44) | 2024.04.17 |
강아지도 사람처럼 걸리는 백혈병 (21) | 2024.04.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