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격막 탈장
횡격막은 우리의 몸 중에 흉부와 복부를 나누고 있는 장기입니다. 횡격막이 존재해서 우리가 숨을 쉴 수 있습니다. 횡격막은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횡격막이 찢어지는 경우에 복강 내 있는 장기들이 흉부로 이동하게 되어 호흡을 힘들게 합니다. 이 질병이 횡격막 탈장입니다.
횡격막 탈장의 원인
1. 선천적인 기형
어린아이들에서 기형적으로 횡격막 탈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횡격막의 일부가 소실되어 그곳을 통해 탈장이 발생합니다. 선척적 횡격막 탈장의 경우 결손된 부분의 크기에 따라 탈장되는 내용물들이 다르며, 이에 따른 증상도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어렸을 때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습니다.
2. 외상성 탈장
다음은 외상에 의한 횡격막 탈장입니다. 보통 교통사고나, 낙상 등과 같이 큰 충격을 통해 발생합니다. 탈장이 발생할 정도라면 외상의 강도가 강하기에, 그 자체로 위험할 수 있습니다. 횡격막 탈장만 놓고 보자면, 외상의 경우가 선천적인 경우보다 치료 및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횡격막 탈장의 진단
횡격막 탈장의 진단은 보통 방사선 촬영을 통해 진단합니다. 방사선 촬영을 하게 되면, 흉부에 복강 내용물들(간, 위, 소장 등)이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탈장된 내용물이 적거나, 방사선 촬영으로 진단이 되지 않을 시에는 CT촬영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횡격막 탈장의 증상
횡격막 탈장의 증상은 탈장된 구조물에 따라 다릅니다. 탈장된 내용물이 적은 경우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 호흡곤란입니다. 탈장된 구조물이 폐를 압박하여 제대로 숨을 쉬지 못하게 합니다.
다음으로는 소화기 증상입니다. 탈장되는 내용물의 대부분이 소화기관이라서 소화기 증상이 많이 발생합니다. 구토 및 식욕부진이 자주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심장박동의 이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탈장된 내용물이 장기간 탈장된 채로 유지되면 심장과 유착을 유발합니다. 이런 유착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횡격막 탈장의 치료
횡격막 탈장의 치료는 외과적으로 탈장되는 부위를 좁히는 것입니다. 눈으로 탈장되는 구조물들을 제 위치로 옮긴 후 손상된 횡격막을 복구하는 것입니다. 횡격막 탈장 수술 시 보이지 않는 곳을 봉합해야 하는 점과 개흉수술에 준하는 수술이라는 점이 어려운 점입니다. 이런 이유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상태에 따라 예후가 불량할 수도 있습니다.
횡격막 탈장의 예후
횡격막 탈장의 예후는 좋지 않은 편입니다. 외상성 횡격막 탈장의 경우, 외상에 대한 쇼크 증상이 개선된다면 횡격막 탈장 수술의 예후는 좋습니다. 하지만, 선천적인 횡격막 탈장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수술 자체도 난도가 있으며, 탈장된 내용물이나 탈장된 기간에 따라 유착 여부등이 예후에 영향을 끼칩니다. 최악의 경우 유착이 심해 수술을 시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작아진 폐가 커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후유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폐 자체가 손상되기도 하고, 폐수종/기흉/흉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횡격막 탈장을 수술할 경우에는 아이가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우리 아이가 아파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강아지가 상상임신을?! (5) | 2023.06.20 |
---|---|
응급 수술이 필요한 담낭점액종(GB mucocele) (3) | 2023.06.11 |
우리 아이가 발작을 해요~!(#White shaker syndrome) (6) | 2023.06.07 |
고양이가 혈변을 봐요~! (3) | 2023.06.04 |
고양이가 콧물이 나요~! (8) | 2023.05.18 |
댓글